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Tags 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채움

백신 특허권 면제에도 산너머 산인 이유? 본문

카테고리 없음

백신 특허권 면제에도 산너머 산인 이유?

드리미81 2021. 5. 7. 21:33
반응형

 

미국 정부가 미국 제약사의 백신 특허권을 면제하는 데 찬성한다는 입장을 밝히면서 

복제 백신이 과연 현실화할지 관심이 커지고 있습니다. 


특히 의약품 생산 능력으로 치면 세계에서 두 번째인 한국으로선 더 그렇습니다. 

무엇을 기대할 수 있고 무엇이 우려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





백신 복제의 성공은 백신 제조회사들이 어느 정도까지 제조법을 공개하느냐에 달려 있습니다. 

지적재산권에 명시된 제조법은 물론 

제조 과정의 구체적인 노하우까지 공개돼야 복제 백신을 만들 수 있습니다. 

하지만 

막대한 투자 끝에 백신 개발에 성공한 제약사들이

 개발 노하우를 전부 공개한다는 건 쉽지 않습니다. 

특히 세계 최초로 mRNA 백신 제조법을 개발한 화이자와 모더나사의 반발이 큽니다. 

공개하더라도 일부일 가능성이 크죠.

 




복제 백신이 나오려면 똑같은 생산 설비도 있어야 합니다. 

현재 국내 제약사 몇 곳에서 mRNA 중간 원료를 생산할 시설을 갖추고는 있지만, 

백신 완제품까지 한 번에 만들 수 있는 곳은 아직 없습니다. 


백신 원료 확보도 문제입니다.

 



화이자 백신의 경우 들어가는 원재료만 280여 개로

 10여 개국 80여 개 회사에서 조달하고 있는데, 

단기간에 공급망을 확보하기가 어렵습니다. 


모든 걸 갖췄더라도

특별한 기술을 가진 소위 전문가가 와서

과정을 일일이 다 보고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.

하지만 

정부는 이번 지적재산권 공개 논의가 세계 의약품 생산 2위인 우리나라에는 

큰 기회가 될 것으로 전망하고 있습니다.

 




WTO(세계무역기구) 등을 중심으로 관련 논의 진전이 예상되는바,

역시 우리에게 긍정적 요인을 제공할 것으로 보여진다.

국내 5개 업체가 자체 백신을 개발 중이고, 

여기에 신기술인 mRNA 백신 기술까지 습득할 수 있어

 더 많은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될 수 있다.



새롭게 주인공으로 등극한 mRNA백신 플랫폼

암 등 감염병 외의 다른 만성병 영역으로도 확장될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

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.

 



정부는 복제 백신의 생산보다

 독자적인 백신 개발에 방점을 찍고 

지적재산권 공개 논의를 적극 활용해 나간다는 방침이다.

반응형
Comments